자녀 양육비 회사를 통한 원천징수
양육비가 가끔씩 밀리면서 매달 걱정하며 살고 있습니다. 이혼한 배우자는 회사를 다니고 있고 안정적인 주급을 받고 있습니다. 매달 양육비로 불안해 하지 않기 위해서 회사에 직접 양육비를 원천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육비가 가끔씩 밀리면서 매달 걱정하며 살고 있습니다. 이혼한 배우자는 회사를 다니고 있고 안정적인 주급을 받고 있습니다. 매달 양육비로 불안해 하지 않기 위해서 회사에 직접 양육비를 원천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by 변호사 Sun Suh esq / 문의 T. 212-321-0311 · Published July 16, 2018 · Last modified June 28, 2021
이혼한지 10년이 넘었습니다. 양육비는 꾸준히 부담하고 있어서 문제가 없었는데 최근 아이가 대학을 가게 되면서 대학 학비에 대한 부담을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대학 학비에 대한 부분도 양육비의 일부로 요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by 변호사 Sun Suh esq / 문의 T. 212-321-0311 · Published July 16, 2018 · Last modified June 22, 2021
자녀 건강문제에 따른 양육비 조정 양육권을 갖고 아이를 키우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 건강이 좋지 못해서 특별히 들어가는 비용과 예상하지 못한 비용이 더 들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경우 양육비를 조정할 수 있는지요
by 변호사 Sun Suh esq / 문의 T. 212-321-0311 · Published May 30, 2018 · Last modified June 23, 2021
소득 상황에 변화가 생겼음을 보여줌으로써 자녀 양육비를 조정할 수 있다고 상담받았습니다. 자녀 양육비가 정확히 계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히어링이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이에 대한 기준이 어떤건지 다시 한번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귀 사무실 사이트를 통해 자녀 양육비 CSSA에 따른 계산방법은 총 소득이 아니라 순소득을 고려한다고 들었습니다. 순 소득을 계산하기 위해 어떠한 항목이 차감되는지 궁금합니다.
자녀 양육권은 상대방 배우자가 가져가고 저는 양육비를 제공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뉴욕의 경우 몇살이 될 때 까지 양육비를 부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이혼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제적인 문제와 양육권 및 양육비를 계산하기 어렵고 그냥 대화로 협의과정을 하고 있는데 합의가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를 결정하는 별도의 자녀 양육비를 결정하는 공식이나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